분류 전체보기
-
JSP + MVC2 환경에서 AJAX 404 오류 해결웹 개발/JSP 2025. 4. 1. 15:17
jsp페이지에서 비밀번호 검증을 위해 fetch로 요청을 보냈다.fetch('/mypage-info.mypage', { method: 'POST', headers: { 'Content-Type': 'application/x-www-form-urlencoded' }, body: new URLSearchParams({ password: oldPassword }) });그런데 브라우저 콘솔에서 HTTP 상태 404 – 찾을 수 없음 오류가 발생하였다. 원인을 분석해보니 브라우저에 열려있는 uri와 실제 요청 uri가 일치하지 않았다.요청 uri과 서블릿 매핑이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다.http://localhost:9000/personal-buddy/mypage/mypage-Info.jsp fetch요청은 루트..
-
동적 콘텐츠 로딩웹 개발/JSP 2025. 3. 21. 16:55
프로젝트 첫주차 프론트 쪽을 작업하며 탭이 바뀔때 컨텐츠 내용을 어떻게 동적으로 바꾸어주지 라는 고민을 하였다. 여러가지 방법을 찾아보다 비동기적으로 내용을 바꾸어주는 방법으로 구현하였는데 전체 html을 처음부터 다 불러오지 않고 필요한 콘텐츠만 요청해서 가져오기 때문에 성능적으로 좋다. 나의 꾸미기🎨 전체 배경 스티커 나무 function attachFolderItemClickEvent() { const folderItems = document.querySelectorAll(".folder-item"); folderItems.forEach((item) => { item.addEventListener("..
-
서블릿(Servlet)이란?카테고리 없음 2025. 3. 11. 16:49
서블릿(Servlet)이란?서블릿(Servlet)은 Java EE(Enterprise Edition) 환경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사용되는 서버 측 기술입니다.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, Java로 작성된 클래스입니다.서블릿의 특징플랫폼 독립성: Java로 개발되므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.HTTP 요청 및 응답 처리: GET, POST 등의 요청을 처리하여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.멀티스레드 지원: 하나의 서블릿 인스턴스가 여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.JSP와의 연동 가능: 서블릿은 JSP(Java Server Pages)와 함께 사용하여 MVC(Model-View-Controller) 패턴을 ..
-
MVC2웹 개발/JSP 2025. 3. 9. 18:04
MVC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요청 처리 흐름MVC(Model-View-Controller)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가 페이지를 요청한 후 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될 때까지의 전체 흐름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요청 처리 흐름 예시: list.product사용자가 http://localhost:9000/mvc/list.product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로 동작합니다.1. 사용자 요청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http://localhost:9000/mvc/list.product URL을 입력하여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.2. Web Server - web.xml에서 요청 처리요청이 *.product로 끝나므로 web.xml에서 ProductFrontController 서블릿으로 전달됩니다...
-
-
정보처리기사 필기카테고리 없음 2025. 2. 25. 21:30
하둡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다.일반 PC급 컴퓨터들로 가상화된 대형 스토리지를 형성한다.다양한 소스를 통해 생성된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한다. 멤리스터메모리 + 레지스터의 합성어이다.전류의 흐름과 시간의 변화에 따라 저항의 강도가 바뀌는 새로운 전기소자로 이전의 상태를 모두 기억하는 메모리이다. 비컨블루투스 4.0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할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폰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.저전력으로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.NFC보다 가용 거리가 길고 5~10cm 단위 구별이 가능해 정확성이 높다.